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해서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함수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a, b에 대해서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r이라 하면(단, a>b),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r의 최대공약수와 같다. 이 성질에 따라, b를 r로 나눈 나머지 r'를 구하고, 다시 r을 r'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나머지가 0이 되었을 때 나누는 수가 a와 b의 최대공약수이다. - 위키백과 유클리드 호제법 구현방법 func gcd(a: Int, b: Int) -> Int { var a = a var b = b while b != 0 { let r = a%b a = b b = r } return a } gcd(a: 24, b: 12) // returns 12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Swift 함수의 파라미터는 상..
조건문과 if문 조건에 따라 코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문장을 조건문이라 합니다. 다양한 조건문 중 if문은 조건의 참과 거짓을 판단하고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데, if블록에서 구현한 코드는 표현식의 조건이 true인 경우에만 실행됩니다. if condition { statements } if조건문은 if키워드로 시작하고, 표현식 부분엔 Boolean 표현식(true 또는 false의 값을 도출하는 표현식)이 와야합니다. 조건(condition)이 true로 평가된다면, if블록의 코드가 실행됩니다. false로 평가된 경우 실행되는 코드를 추가하고 싶다면, if블록 다음 else키워드를 사용해 코드블록을 구현하면 됩니다. else블록은 조건문에서 한 번만 작성할 수 있습니다. let myAgeIs: I..